이 글은 닥터 네로와 개조된 GPT가 함께 작성했습니다.🐾🖤
플러터플로우(FlutterFlow) 소개 — 어디까지 커버될까? 백엔드도 되나요?
플러터플로우, 한 줄 정의⭐
FlutterFlow는 ‘노코드/로우코드’로 플러터(Flutter) 앱 UI·로직을 시각적으로 만들고, 필요하면 완전한 플러터 소스 코드까지 내보낼 수 있는 빌더예요. 애니메이션, 상태 관리, API 연결, 번역, 반응형, 앱스토어/플레이스토어/웹 배포까지 한 화면에서 밀어붙일 수 있습니다. 코드를 내보내면 이후 순수 Flutter 프로젝트처럼 커스터마이징도 가능—이게 핵심 매력 포인트죠.
플러터 플로우로 무엇을 얼마나 만들 수 있나? (커버리지 체크리스트) ⭐
- 화면/컴포넌트: 드래그&드롭으로 리스트/폼/차트/애니메이션·트랜지션 구현.
- 상태·플로우: 액션 빌더로 “버튼 클릭 → 네비게이션/DB쓰기/API호출/토스트” 같은 플로우 구성.
- 외부 API: REST API를 GUI로 정의(헤더/쿼리/바디/JSON 매핑, 고급 옵션 포함).
- 커스텀 코드: Custom Action/Function/Widget으로 빈틈을 메우고 pub.dev 패키지도 가져오기 가능. (UI 위젯을 직접 작성·주입 가능)
- 다국어/반응형/배포: 번역(구글 번역 연계), 다양한 디바이스 사이즈 대응, 웹/스토어 배포 파이프라인 제공.
- 코드 내보내기: “벤더 락인 없음—코드는 내 것” 철학. 내보낸 뒤 Flutter 개발자가 최적화/확장 가능.
한마디로, 프론트엔드(클라이언트 앱) 제작과 API 연동은 매우 강합니다. 필요하면 코드로 더 깊게 파고들 수 있고요.
“백엔드 역할도 되나요?” 🧩
짧은 답: 완전한 의미의 ‘자체 백엔드’는 아닙니다.
- FlutterFlow는 데이터 저장·인증·파일 업로드 같은 백엔드 기능을 직접 호스팅하지 않기 때문에, Firebase/Supabase/Xano/자체 API 같은 외부 백엔드에 붙여 쓰는 구조예요. 커뮤니티와 문서에서도 “백엔드는 외부를 써라”는 톤이 분명합니다.
- 다만, **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와 상호작용(쓰기/읽기/호출/업로드)**를 ‘노코드 방식’으로 매우 빠르게 구성할 수 있고, 부족한 로직은 Custom Action/Function으로 보완합니다. (참고: API 호출은 Custom Action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이드)
현실적으로는 **“FlutterFlow = 프론트엔드 빌더 + 백엔드 커넥터”**로 이해하면 편합니다.
Firebase랑은 어떻게 연결돼? (사실상 가장 흔한 조합) 🔌
FlutterFlow는 Firebase 통합이 매우 매끄럽습니다.
- Auth: 이메일/소셜/전화 인증 위젯·플로우 제공.
- Firestore: 컬렉션 스키마 잡고 CRUD, 쿼리·필터, 실시간 리스너, 오프라인까지.
- Storage: 사진·동영상 업로드·표시.
- 보안/인덱스: 콘솔에서 규칙/인덱스 배포 흐름까지 안내.
통합 가이드를 그대로 따르면 “연동→화면 바인딩→실행” 루트가 빠르게 끝나요.
언제 FlutterFlow가 특히 빛나나? (실전 시나리오) ✨
- MVP/프로토타입: 아이디어 검증용 앱을 며칠 단위로 뽑아야 할 때.
- 어드민/내부툴: 백엔드 팀이 API 이미 갖고 있을 때, 폼·대시보드를 즉시 구성.
- 하이브리드 개발: 80%는 FlutterFlow, 성능·특수 기능 20%는 코드로 커스텀(내보낸 코드 확장).
한계와 우회 팁(솔직 모드) 🐾
- 완전 백엔드 부재: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·스케줄러·비동기 잡은 Cloud Functions/FastAPI/Node 등 외부로.
- 고난도 API 사용 위치: API는 API Editor/Custom Action로—Custom Function 안에서 직접 호출은 불가(가이드).
- 퍼포먼스·아키텍처 세밀 튜닝: 아주 큰 스케일/특수 SDK는 코드 내보내기 후 IDE 작업으로 해결.
요약 — 네로님에게 딱 맞는 판단 가이드 🖤
- 하고 싶은 게 앱 UI/플로우/DB연동 중심이라면 → FlutterFlow + Firebase가 가성비 최강.
- 복잡한 서버 로직/결제/대량 집계가 핵심이면 → 외부 백엔드(Firebase Functions, Supabase, Xano, 직접 API) 설계는 필수.
- 장기 확장이 걱정되면 → 처음엔 FlutterFlow로 빠르게 만들고, 코드 내보내기로 본격 최적화에 들어가면 됩니다.
🐾 닥터 네로의 마무리
“플러터플로우는 빠른 기획·개발·배포를 한 번에 밀어주는 멋진 도구예요. 다만 백엔드는 외부에 두고 연결한다—이 원칙만 이해하면 됩니다.
왜 플러터에서 플러터플로우로 바꿨냐고요? 디자인을 볼 수 있어서 직관적이더라구요! 절대 멍청해서 노코드로 갑자기 노선을 바꾼 것은 아닙니다.
추가적으로 요금제에 대해 말씀드리자면
FlutterFlow 요금제 비교 — Free vs Basic 요금제, 상세하게 풀어드릴게요!
FlutterFlow는 워낙 많은 기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데요, 무료와 유료들의 차이점을 꼼꼼히 비교해드릴게요. 무료도 꽤 쏠쏠하지만, Basic에 올라가는 순간 거의 “프로 수준 앱 제작 가능”이라 할 수 있어요.
요금제 개요
요금제 | 가격 (월) | 주요 특징 요약 |
Free (무료) | $0 | 기본 UI 빌더, 1,000개 템플릿, Firebase/Supabase 연동, 웹 퍼블리싱, API 호출 2개 제한, 프로젝트 최대 2개, AI 도움 5회, 코드 내보내기 불가 등 |
Basic | $39 (연단위 $29.25) | 프로젝트 무제한, 코드 & APK 다운로드, 커스텀 도메인 웹 퍼블리싱, 로컬 기기 테스트, 앱스토어 원클릭 배포, API 무제한, Swagger Import, 커스텀 코드 표현식, Git CLI, YAML 편집, 기타 고급 개발 툴 사용 가능 |
자유롭게 쓸 수 있는 기능들 비교
플러터플로우 (FlutterFlow) Free 플랜
- 기본 제공: 드래그 앤 드롭 UI, 템플릿, Firebase/Supabase 연동, REST API 호출 최대 2개, 웹 퍼블리싱, AI 도움 5회(lifetime) 제공
- 제한되는 것들:
- 프로젝트 수 제한 (최대 2개)
- 코드 / APK 다운로드 불가
- API 호출 제한
- GitHub 연동, 커스텀 코드 표현식 없음
- Swagger 자동 Import 없음
- 로컬 테스트 불가
플러터플로우 (FlutterFlow) Basic 플랜
- 추가되는 기능:
- 프로젝트 무제한 생성 가능
- 소스코드 및 APK 다운로드 가능 → Flutter로 더 깊게 다듬기 가능
- 커스텀 도메인 연결 (한 개 무료 제공)
- 로컬 기기 테스트 지원 (에뮬레이터 포함)
- 앱스토어(Apple/Google) 원클릭 배포
- Swagger/OpenAPI Import 가능 → API 작업 속도↑
- API Endpoints 제한 해제 (무제한)
- 커스텀 코드 표현식, YAML 편집, CLI 명령 지원 등 고급 개발 도구 추가 가능
플러터플로우 (FlutterFlow) 실 사용자 입장에서 장/단점 요약
Free 플랜 장점
- 완전 무료로 시작 가능. 초보 기획 구성 및 실험용으로 충분함.
- Firebase/Supabase 연동, 시각적 UI 구축, API 호출 약간 가능.
- “먼저 해보고” 업그레이드 결정할 수 있는 진입 장벽 낮음.
Free 플랜 단점
- 프로젝트 수 제한(2개).
- 코드/앱 파일 내보내기 불가능 → 커스터마이징·출시 어려움.
- API 호출 제한, 배포 기능 제약 있음.
Basic 플랜 장점
- 코드 내보내기 가능 → 직접 Flutter IDE에서 추가 개발 자유.
- API 호출 무제한, Swagger import 가능 → 외부 통합 훨씬 수월.
- 실제 앱스토어 배포 기능 탑재 → "프로덕션 앱" 단계까지 확장 가능.
- 커스텀 코드 등 플러터 수준 개발 환경과 유사한 환경 확보.
Basic 플랜 단점
- 월 $39라는 비용 — 시작 전에 투자 대비 산정 고민 필요.
- 팀작업, 브랜치, 자동 테스트 등 협업 고급 기능은 없음 (그 이상 요금제 필요).
팁: 언제 업그레이드할까?
- 초기 기획/프로토타입 → Free로 시작 (테스트, 아이디어 실험용)
- 앱 출시 목표 → Basic 업그레이드 고려. APK, 코드 다운로드, 앱스토어 배포 가능해짐.
- 팀 협업/지속적 통제 → Growth↑ (이번엔 Basic까지만 정리합니다).
요약 정리
- Free는 “앱 빌드 경험 + 백엔드 연동 + web demo” 수준에는 충분한 기능.
- Basic은 “앱 출시+커스터마이징+API 무제한+배포” 레벨 기능까지 제공합니다.
- 기획 단계에선 Free로 빠르게 시작 → 본격화 단계에서 Basic으로 전환하는 플랜이 가장 현실적입니다.
'제 2의 네로 (AI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테이블 디퓨전 8편 - 캐릭터 일관성 유지하기 (Seed, Faceswapper) (0) | 2025.09.09 |
---|---|
GPT와 Flutter flow를 이용한 앱 만들기 5편 (0) | 2025.09.09 |
GPT를 이용한 앱 만들기 3편 (1) | 2025.09.08 |
GPT를 이용한 앱 만들기 2편 (0) | 2025.09.08 |
GPT를 이용한 앱 만들기 1편 (1) | 2025.09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