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개편된 청년 도약 계좌, 무엇이 달라졌나요?
1. 정부 기여금 대폭 상향
- 이전엔 월 최대 24,000원이던 정부 기여금이
→ 2025년부터 월 최대 33,000원으로 늘어났습니다. - 소득 구간별로 차등 지원되며, 전 소득 구간에서 월 최대 70만 원 납입에 동일 매칭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.
2. 중도 해지에도 혜택 유지
-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은 물론, 정부 기여금의 60%까지 보장됩니다.
3. 부분 인출 기능 도입
- 2025년 7월 10일부터, 가입 2년 경과 후 최대 납입 원금의 40%까지 한 번에 인출 가능.
- 인출된 금액은 중도해지 이자율이 적용되며, 기여금은 별도로 지급되지 않습니다.
- 단, 3년 이상 유지 후 부분 인출 시에는 기여금의 60%를 받을 수 있습니다.
4. 신용점수 가점 제공
- 2년 이상 유지하면서 총 납입액 800만 원 이상이면, 신용점수가 5~10점 상승할 수 있는 혜택도 생겼습니다.
5. 가입 조건 확대 및 유연성 강화
- 가입 대상 확장: 프리랜서, 자영업자 등 다양한 직업군 청년도 포함.
- 납입 방식 자유: 월 1,000원~70만 원 범위 내 자유롭게 납입 가능—금액 증감, 휴월 납입도 허용.
6. 정책 종료 예정
- 2025년 말, 이자·배당소득 비과세 혜택이 예정대로 종료될 예정이며, 신규 가입도 중단될 수 있습니다.
- 올해 연말까지 가입자에 한해, 5년간 혜택 유지는 보장됩니다.
요약 테이블
항목 | 2025년 개편된 혜택 |
정부 기여금 | 월 최대 33,000원 ↑ |
중도 해지 혜택 | 3년 유지 시 기여금 60%, 비과세 유지 |
부분 인출 | 가입 2년 후 최대 납입금 40% 인출 가능 |
신용점수 | 5~10점 가점 (2년+800만 원 유지 시) |
가입 조건 | 다양한 직업군 확장, 납입 자유도 ↑ |
종료 일정 | 2025년 12월 세제 혜택 종료 예정 |
개인소득 구간별 정부 기여금 (2025년 1월 납입분부터 적용)
개인소득 (총급여 기준) | 월 납입 한도 | 정부 기여금 월 최대 (기존) | 정부 기여금 월 최대 (25년 개편 후) |
2,400만 원 이하 | 70만 원 | 2.4만 원 (6.0%) | 3.3만 원 (↑0.9만 원) |
3,600만 원 이하 | 70만 원 | 약 2.3만 원 (4.6%) | 약 2.9만 원 |
4,800만 원 이하 | 70만 원 | 약 2.22만 원 (3.7%) | 약 2.52만 원 |
6,000만 원 이하 | 70만 원 | 약 2.1만 원 (3.0%) | 동일 (약 2.1만 원) |
7,500만 원 이하 | 70만 원 | 해당 없음 | 해당 없음 |
- 개편 전: 예를 들어 연소득 2,400만 원 이하의 경우, 월 70만 원을 납입해도 오직 월 40만 원까지만 기여금이 지급돼서 최대 2.4만 원 받았어요.
- 2025년 1월 개편 후: 매칭 한도가 납입 한도(70만 원)까지 늘어나고, 추가 납입분(40~70만 원 구간)에 대해 3.0% 기여금을 지급해 총 3.3만 원으로 확대됐습니다.
가구소득 기준과 개인소득 유지 관리
- 가입 가능한 대상은 개인소득이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, 그리고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인 경우에 해당합니다.
- 연간 유지심사를 통해 개인소득 구간이 변경될 경우, 기여금 지급 수준도 1년 단위로 조정됩니다.
수익효과 비교
- 총급여 2,400만 원 이하의 경우, 연 최대 수익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개편 전: 약 연 8.87%
- 개편 후: 약 연 9.54%로 증가.
-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 해지해도 비과세 혜택 및 기여금 일부(60%)는 그대로 받을 수 있어, 실제 효과는 연 7.64% 수준으로 유지됩니다.
요약 정리
- 더 낮은 소득 구간일수록 기여금 혜택 증가폭이 큽니다.
- 개편으로 전 구간에 걸쳐 매월 최대 3.0% 매칭기여금까지 확대된 것이 큰 변화입니다.
- 소득 변동에 따라 기여금 수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연간 유지심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청년 도약 계좌 어디서 개설할까? 은행별 이용 가능한 곳과 차이점 정리 (2025년 8월 기준)
2025년 기준, 청년도약계좌는 다음 11개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.
- 국민은행, 기업은행(IBK), 농협(NH), 신한, 우리, 하나
- iM뱅크(대구은행), 경남, 부산, 전북, 광주은행
은행 | 기본 금리(3년 고정) | 소득 우대금리 | 적금담보대가산금리(만기일시상환대출) | 적금담보대가산금리(한도대출) | 적금담보대가산금리(대출가능한도) | 은행별 우대금리 |
NH농협은행 | 4.50 | 0.50 | 0.90 | 0.90 | 90 | 우대금리 최대 1.00%p (① 급여이체 0.50%p, ② 마케팅동의 0.20%p, ③ 카드실적 0.20%p, ④ 가입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(청약포함) 미보유 또는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0.10%p) |
신한은행 | 4.50 | 0.50 | 1.00 | 1.00 | 100 | 우대금리 최대 1.00%p (① 급여이체 0.30%p, ② 신한카드(신용/체크) 결제 0.30%p, ③ 첫 거래 우대 0.40%p) |
우리은행 | 4.50 | 0.50 | 1.00 | 1.00 | 95 | 우대금리 최대 1.00%p (① 급여이체 : 1.00%p, ② 예적금 미보유 : 0.50%p, ③ 카드결제(신용/체크) : 0.50%p) * 만기해지 시점까지 적금 자동이체 및 마케팅 동의 유지 필수 |
하나은행 | 4.50 | 0.50 | 1.00 | 1.00 | 100 | 우대금리 최대 1.00%p (① 급여 (가맹점대금) 이체 [36회차 이상] : 0.60%, ② 마케팅동의 : 0.10%, ③ 카드 결제실적 [월10만원이상, 36회차 이상] : 0.20%, ④ 목돈마련응원 : 0.10%) |
IBK기업은행 | 4.50 | 0.50 | 0.60 | 0.60 | 100 | 우대금리 최대 1.00%p (① 급여이체 0.50%p, ② 마케팅동의 0.10%p, ③ 지로/공과금 0.20%p, ④ 카드이용 0.20%p, ⑤ 최초고객 0.30%p) |
KB국민은행 | 4.50 | 0.50 | 1.25 | 1.75 | 95 | 우대금리 최대 1.00%p (① 급여이체 0.60%p, ② 자동이체 0.30%p, ③ 거래감사 0.10%p) |
iM뱅크(구 대구은행) | 4.00 | 0.50 | 1.00 | - | 95 | 우대금리 최대 1.50%p (① 마케팅동의 0.30%p, ② 주택청약 보유 0.50%p, ③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 0.70%p) |
BNK부산은행 | 4.00 | 0.50 | 1.00 | 1.50 | 95 | 우대금리 최대 연1.50%p (① 급여이체 : 0.50%p, ② 카드실적 : 0.50%p, ③ 신규고객 : 0.50%p) |
광주은행 | 3.80 | 0.50 | 1.20 | 1.20 | 95 | 우대금리 최대 1.70%p (① 급여이체 0.50%p, ② 카드사용 우대금리 0.50%p, ③ 첫 거래 우대금리 0.50%p, ④ 만기축하 우대금리 0.20%p) |
전북은행 | 3.80 | 0.50 | 1.20 | 1.70 | 90 | 우대금리 최대 1.70%p (① 급여이체 0.70%p, ② 마케팅 동의 0.20%p, ③ 적금 자동이체 0.30%p, ④ 카드실적 0.50%p) |
BNK경남은행 | 4.00 | 0.50 | 1.20 | 1.50 | 100 | 우대금리 최대 1.50%p (① 급여이체 0.70%p, ② 주택청약 보유 0.40%p, ③ 최초신규고객 0.40%p) |
저는 급여이체가 자유롭다면 우리은행을, 이를 활용해 대출을 실행할 지도 모른다면 IBK 기업은행을 추천드립니다.
청년 도약 계좌 개설 조건과 예상 이윤 표
아래는 은행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는 가입 조건 요약과 월 70만 원 납입 시 예상 수익 시뮬레이션입니다.
항목 | 내용 |
가입 대상 | 만 19~34세 (군복무 기간 제외 시 최대 만 40세 가능), 개인소득 ≤ 7,500만 원, 가구소득 ≤ 중위소득 250% |
납입 조건 | 매월 1천 원 ~ 70만 원 자유 납입, 60개월 (5년) 유지 |
정부기여금 | 소득 구간별 차등 지급, 최대 월 33,000원 |
우대 금리 기대치 | 기본 4.5% + 우대금리 최대 ~1.5% ⇒ 연 6% 수준 가능 |
부분 인출 | 가입 2년 후 납입 원금의 최대 40% 인출 가능 (선입 선출 방식) |
중도 해지 혜택 | 3년 이상 유지 시 기여금 60% 보장, 비과세 유지 |
예상 만기 수령액 (월 70만 원 기준, 연 6% 가정):
- 납입 총액: 70만 × 60개월 = 4,200만 원
- 기여금 합산: 최대 월 33,000원 × 60개월 ≈ 1,980만 원
- 세제 혜택 포함 총액: 약 6,180만 원 이상 가능 (이자 포함)
- 주목할 만한 수혜 구조입니다!
마무리하자면…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·비과세 혜택·은행 우대금리가 더해져 청년 자산 형성에 매우 유리한 상품입니다. 특히 은행 선택 시 우대 조건을 잘 비교하면 수익을 더 극대화할 수 있어요.
더불어 부분 인출 가능, 3년 유지 시 중도 해지 보호, 가입 조건 완화 등으로 유연성도 큽니다. 가입 예정이라면 자신에게 유리한 은행 조건을 면밀히 따져보는 것이 핵심입니다.
'낙서장 > 잡동사니 정보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송 - 땅이 쓴 시, 청송을 걷다 (2) | 2025.08.07 |
---|---|
북한산 - 화강암의 향연 (5) | 2025.08.06 |
다도해 해상 국립 공원 - 바다와 육지의 그 어딘가! (6) | 2025.08.05 |
수안보 온천 - 수도권의 유명 온천 (7) | 2025.08.04 |
덕구온천 - 자연용출형 철 온천 (5) | 2025.08.04 |